콘텐츠 바로가기

에디터추천글

[거래소시황] 미국 그리고 다가올 세계의 경제변화!코멘트5

지금 세계경제에  가장큰 문제중 하나는  미국의 적자재정이다  그동안  중국이나 일본이 꾸준히 미국채를

사주어서  미국은 적자재정에도 국채를 야금야금 찍어내어 팔고 무역흑자를 엄청나게 내었던 중국과 일본

및 대만 유럽 한국이 이를 구매하여 준것이다 


그런데 작년부터 최근을 보면 최대의 미국국채 구매자이던  중국이나 일본이 사주기는 커녕 도리어 팔았던

것이다  대신에 영국, 캐나다, 벨기에 등의 일부 유럽국가들이 미국채를 매입하였다  캐나다와 영국은 미국

과 무제한 통화스왑 국가 입니다  달러와 한몸통으로 엮여 있다는 것이죠 영국이나 캐나다 벨기에등  미국

국채를 사주는 나라들도 무역적자 국가라서 많은 여력이 없습니다  이제 그들도 돈이 떨어진것 입니다 


엘라혹사 뉴턴 투자회사 의 한임원은  미국국채 10년만기 국채의 금리가 현재의 4.4%에서 향후 수년안에

8~10%까지 올라 갈수도 있을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미국국채를 팔고있는 중국이나 일부국가 들은 미국채

대신에 금이나 기타 통화를 사들이고 있는 중입니다 


바이든 미국정부는 올가을의 미국대통령 선거에서 이길려고 하고있기 때문에  올해도 많은 적자재정으로

지금의 미국금리는  어거지로 낮추고 있는것이며 한국의 기준금리도 미국금리에 비해서 비슷해야 하지만

한은과 정부가 붙잡고 있는 것입니다  이전의 민주당 정권시절에 만들어 놓은 각종 문제들인  부동산 거품

붕괴 우려와 가계부채 문제들 때문입니다 


이제 미국국채를 사줄세력은 미국의 헤지펀드 외에는 별로 남아있지 않은데 미국은 적자재정은 갈수록 커져

만 갑니다 결국은 미연준이 사주어야 겠지만 연준이 사주면서 달러를 발행하면 인플레로 연결이 되며 미국

정부는 인플레를 잡기 위하여 또 금리를 올려야 하고  더높은 금리로 국채를 발행해야 합니다 기존의 미국채


를 보유한 나라들은 앉아서 손해를 보게 됩니다  그러니 미국채 기피현상이 더욱심화 될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4%짜리로 발행된 미국채는 금리가 7%로 된다면 그것은 채권가격 하락입니다)



미국은 2023년인 작년에도 큰경제 위기나 변수가 없었는데도 GDP의 6.3% 재정적자가 발생 하였습니다

미국 의회 감시단체는 향후 10년안에 미국의 재정적자가 2조6천억 달러가(우리돈3000조원) 될것으로 전망

하였습니다 (현재1조7천억달러 임)  미국 국채의 발행금리도 오르고 있어서 더욱 문제 입니다


머지않아 미국국채 이자만도 2000조원이 넘을것으로 추정이 된다고 합니다  현재에도 미국국채 이자만도 미

국의 국방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미국정부 국채(미정부의 빚)은 현재에도 원화 4경5천조원에 육박하며 지속

적 으로 빠르게 증가중인데  나중에 큰문제가 발생 될수도 있습니다  다른국가들이 미국채를 사주지 않는다면..

현재 미국의 전체 채권시장 규모는 27조달러(원화 3경6천조원) 규모이지만 커지고는 있는 상태입니다



한국의 국채 발행잔액은 김영삼 정부말 IMF 당시가 50조원 이었으나 김대중정부 말기에 250조원 이상으로 

급증가 되었으며  노무현정권 말기에는 300조원 이상으로 증가를 하였습니다  이명박정부 말기413조원이

되었고 박근혜정권 말에 613조원이 됩니다  문재인 정부 말기에는 미친듯이 증가시켜서 1000조원을 넘었습

니다  하지만 달러를 찍어 세계로 퍼뜨리며  다른국가 들로 인플레를 분산을 시킬수 있는 기축통화 국가인 미국

과 한국은 다릅니다 


이제 사우디도 페트로 달러를 거부하여 계약은 종료 되었으며  중국은 미국채 를 사주지 않고 있고 일본도 내코

가 석자라서  여력이 없습니다  한국 또한 비슷합니다  미국의 인플레는 앞으로도 과거처럼 2%이하로 내릴 가능

성이 낮습니다 미국채의 금리는 더올라 갈수도 있는데 그럴경우 미국채를 보유해 봤자 연간 단위로 볼때에는 오

히려 손해를 볼수도 있는 것입니다 



중국은 무지막지 하게 생산해서 해외로 밀어내기로 나서고  미국은 달러만 찍어서 해외로 팔아먹으며 인플레로

인하여  미국의 금리가 높아서 외국인들 입장에서 한국의 저금리 채권들이나 낮은이익을 내는 주식에 투자하고

싶지 않겠지요 그래서 외국자본이 한국에서 빠져나가는데도 한국은 기준금리를 올릴수가 없습니다 가계부채 문

제와 부동산시장 붕괴 우려로 ...


뿐만 아니라  시중에는 돈가뭄이 우려도 되는데  한국의 은행들이나 금융기관은  국민들의 예금을 받아서 대출하

는 비중은 50%가 안된다고 합니다 은행채나 기타 채권을 발행해서 자금시장에서  대출할 돈을 마련을 하며 그돈

들은 외국인 들의 자금이 대부분인데 .. 한국의 금리가 낮으면 외국인들의 자금은 들어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빠

져 나가버립니다  하지만 금리를 올리면 민주당때 만들어진 그수많은 영끌족들이나 가계부채 1000조원의 주역들

은 망하게 됩니다  가계부채 70%이상이 변동금리 라고 합니다


수많은 아파트들과 공장 및 상가들은 부동산 경매시장에 나오게 되고 내수시장은 죽어서 건설도 죽고 일자리는

없어지게 됩니다  멀쩡하던 공장들도 망하게 되겠죠  그래서 영끌족들이 대량으로 망하면 안됩니다 서서히 조금

씩 감당할수 있는 수준에서만 정리가 되어야 하는것 입니다  돈을벌어서 빚을 갚던지 경매를 당하던지 간에 그것

은 천천히 진행되어야 경제에 충격이 적습니다 ...


달러가 기축통화이기는 하지만 이제 페트로 달러시대도 끝났고 미국의 정책들도 과거와 같이 동맹국이라고 봐주

지 않습니다  미국의 재정적자도 자꾸 쌓이며 동맹국들도 미국채를 잘 사주려고 하지않습니다 다른 대안이 없을때

어쩔수 없이 미국채를 사야 하겠지만 ...


미국 정부의 채무가 하루에13조원씩 증가가 된다고 하는데 ..이런 상황은 오래가지 않습니다 수년내로 큰 세계적

경제변화가 찾아 올것입니다  미국의 금리는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올라 가거나 과거에 비해서 높은 이런

고금리가 오랫동안 유지가 될수도 있습니다  미국의 인플레도 더 올라 갈수도 있구요 






0/1000 byte

등록

목록

무료 전문가 방송

1/3

최근 방문 게시판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