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주요뉴스

얼마나 어렵길래...자동차 담보대출 한도 조회 1년새 128.6% 급증

파이낸셜뉴스 2024.06.28 12:58 댓글 0

카드론 잔액 40조·보험약관대출 71조원...불황형 대출 확대
보유차량 담보가치로 대출받는 '자담대' 시장 각광


연체율 상승으로 1금융권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카드론 잔액이 40조원을 넘어서고 보험약관대출은 71조원을 기록하는 등 '불황형 대출'이 급증하고 있다. 금융권 리스크 관리 강화로 대출 문턱이 점점 좁아지는 가운데 '자동차 담보대출(자담대)'로 저소득·저신용 차주가 몰리고 있다. 뉴스1
연체율 상승으로 1금융권 대출이 어려워지면서 카드론 잔액이 40조원을 넘어서고 보험약관대출은 71조원을 기록하는 등 '불황형 대출'이 급증하고 있다. 금융권 리스크 관리 강화로 대출 문턱이 점점 좁아지는 가운데 '자동차 담보대출(자담대)'로 저소득·저신용 차주가 몰리고 있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금융권 리스크 관리 강화로 대출 문턱이 점점 좁아지는 가운데 '자동차 담보대출(이하 자담대)'로 저소득·저신용 차주가 몰리고 있다. 카드론 잔액이 40조원을 넘어서고 보험약관대출도 71조원을 기록하는 등 이른바 '불황형 대출'이 급증한 상황이어서 서민경제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분석이다.

6월 30일 대출비교 핀테크 기업 핀다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자동차담보대출 한도조회는 약 1125만 건으로 지난해 상반기(약 492만 건) 대비 128.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5월에만 한도조회 건수가 약 552만건에 달했다.

실제로 자담대를 활용하는 고객도 증가하는 추세다. 저축은행 업계에서 제공받은 기타담보대출(자담대) 추이를 살펴보면 지난해 1월 저축은행 전체 기타담보대출 고객 수는 3000여명, 취급금액이 530여억원이었으나 지난 1월에는 6800여명, 970여억원으로 126.7%, 83% 성장했다.

자담대 인기가 높아진 배경에는 낮은 금리가 꼽힌다. 금융사 입장에서는 자담대가 차량에 대한 담보 설정이 가능해 일반 신용대출보다 리스크가 적으므로 대출금리도 낮은 구조다. 실제 자담대를 취급하는 금융사 중 6곳(현대캐피탈, KB캐피탈, 스마트저축은행, 상상인저축은행,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전북은행)의 자담대 최저금리는 연 4.9%~12.96% 사이로, 지난 5월 말 기준 8개 전업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 카드론 금리 최저 선인 13.4%보다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자영업자들이 자담대를 이용하며 숨통이 트일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이종욱 서울여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자영업자들의 영업이 잘 안 돼 돈이 안 도는 상황"이라며 "자동차 담보대출이 금리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해 좋은 자금 마련 창구가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담보적 성격을 띠고 있어 한도가 높고, 소득이 없거나 신용점수가 낮은 차주도 대출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인기 요인이다. 저축은행 업계는 자담대와 신용대출을 놓고 봤을 때 평균적으로 고신용자의 경우 2000만원, 저신용자는 1000만원의 한도 차이가 난다고 분석했다. 또 소득이나 상환능력 외에 차량의 시세로도 한도 산출이 가능하며, 신용점수가 500점대여도 대출이 가능하다. 실제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의 자담대 대출자격에는 '나이스(NICE) 개인신용평점 530점 이상'이라고 명시돼 있으며, 저축은행 업계를 통틀어 500점 미만 고객의 자담대 취급량은 한 달 간 75건으로 나타났다.

A 저축은행 관계자는 "기존 신용대출이 다 포화된 상태에서 대출이 더 필요한 한계차주, 저신용자나 더 이상 신용대출이 불가능한 분들에게 추가적으로 담보성 대출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영향 또한 적다. 통상 DSR 관련 신용대출에서 비분할상환대출(만기일시 상환)은 만기 산정이 5년 고정이며, 분할상환대출(원리금 균등상환)은 신용대출 기간과 동일하게 만기산정이 이뤄진다. 다만, 신용대출의 경우 길어야 7~8년인 데다가 카드론 기간도 3~4년이 최대이기에 만기 산정기간이 10년인 자담대가 유리하다는 설명이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