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최신뉴스

화성 화재참사 반복 안된다… ESS 등 신산업 안전대책 고삐

파이낸셜뉴스 2024.06.30 19:11 댓글0

5년 동안 관련 화재만 39건 발생
정부 잠재위험 요소 해결 총력전
에너지저장시스템 통합관리 운영
지자체장에 재난선포 권한 부여
닥터헬기 등 대응 인프라 확대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4 세계 태양에너지 엑스포 및 2024 세계 배터리&충전 인프라 엑스포에서 전시 관계자가 고안전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연기 및 열 감지 센서를 가리키고 있다. 연합뉴스
23명의 목숨을 앗아간 경기도 화성 배터리 화재 참사의 재발을 막기 위해 정부가 신산업 분야 안전 대책 마련에 뛰어 들었다. 유사 배터리 화재를 막기 위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신산업 분야의 잠재 위험요소에 대해 파악에 나서기로 했다. ESS는 태양광이나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를 대용량 배터리에 충전해놨다가 전력으로 활용하는 새로운 시스템이다. 하지만 그동안 ESS 관련 화재 사고에 대한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이번 화성 배터리 공장 화재 참사를 계기로 정부는 ESS 관리를 강화하기로 했다.

6월 30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향후 5년간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은 △새로운 위험에 대비하는 재난안전관리 △디지털 기반의 재난안전관리 △현장에서 신속하게 작동하는 재난안전관리 △회복력을 강화하는 재난안전관리 △국민과 함께 하는 재난안전관리 등 5대 전략 15개 추진 과제를 담았다. 우선 범정부 차원의 잠재 위험요소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ESS 통합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신사업 분야의 잠재 위험 요소를 선제적으로 관리한다.

화성 참사 이후 리튬 배터리 같은 ESS 시설 관리에 대한 화재 방지책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김성환 국회의원실에 따르면 지난해까지 5년간 ESS 화재 사건은 39건이나 발생했다. 1위는 LG에너지솔루션으로 총 21건이었다. 삼성SDI 제품에서도 15건이 발생했다.

정부는 또 전기 기반 모빌리티 관련 시설 화재 등 미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재난안전산업 육성을 통해 재난안전 환경 변화에 신속하게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한다.

디지털 기반의 재난안전관리와 관련해서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지하차도 진입차단시설 설치, 인공지능(AI) 기반의 지능형 폐쇄회로(CC)TV 관제 시스템을 활용한 도시침수 대응 시스템 등 재난관리 지능화를 추진한다.

범정부 차원의 잠재 위험요소 관리체계를 구축하고, 산사태 취약지역 등 기후위기 사각지대를 선제적으로 발굴해 관리한다. 또한 현장 작동력을 높이기 위해 지자체장에게 재난사태 선포 권한을 부여하고 재난안전 교육을 실시하는 등 지자체의 재난관리 권한·역량을 강화하고, 공인재난관리사 제도의 안착 등 재난안전관리 핵심인력 양성에 힘쓴다.

중증환자 전담 구급차 운영, 닥터헬기 확대 등 현장 대응 인프라를 보강하고 경찰-소방 긴급신고통합시스템 운영 및 AI 기반의 재난관리자원 공유 플랫폼을 구축·운영한다. 재난피해자 지원체계 강화를 통해 재난지역의 신속한 일상회복을 지원하고, 고령자·장애인 등 재난에 취약한 사회적 약자 보호를 강화한다. 이를 위해 재난피해자와 피해자가족 지원 전담기구로서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를 구성·운영하고 재난피해자 등을 대상으로 전문적인 심리상담·치료 지원을 확대한다.

피해지역의 인프라 및 경제활성화 등 종합복구를 추진하고 재난안전보험 보장범위 확대 등 사회안전망을 강화하기로 했다.




ktitk@fnnews.com 김태경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