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최신뉴스

원산지 표시부터 친환경 인증까지...'믿고 먹는 먹거리' 위한 25년 행보

파이낸셜뉴스 2024.06.30 18:28 댓글0

농산물품질관리원 출범 25주년
"농업인·소비자와 소통 강화할것"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직원이 최근 시중의 한 마트 매장에서 원산지표시 점검을 하고 있다. 농관원 사진제공
농산물의 안전 관리를 총괄하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오는 7월 1일 출범 25주년 기념식을 개최한다고 6월 30일 밝혔다.

농관원은 지난 1949년 농산물검사소를 발족해 1998년 국립농산물검사소와 농업통계사무소가 통합됐다. 이후 농산물 품질 및 유통 관리 업무가 확대되면서 1999년 기관 명칭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으로 변경하고 출범했다.

농관원은 과거 단순한 농산물 품위 검사 기관에서 나아가 먹거리 안전의 최일선인 생산 단계에서 우리 농산물의 안전성 관리를 맡아왔다.

소비자 요구에 부응해 농산물 안전성 조사, 친환경 인증, 원산지 표시 업무 등을 통해 농식품 유통 질서를 확립해 왔다. 취약 품목 단속, 민간 감시 기능 강화, 첨단 기술을 활용한 원산지 검정법 개발 등으로 원산지 표시 이행률은 지난 1999년 94.8%에서 2023년 97.3% 상승했고, 원산지 대상 품목도 428개에서 985개로 두 배 많아졌다.

농산물 안전 관리의 경우 사전 예방·재배 환경 및 정책 지원으로 체계화하고, 농약 안전 사용 지도·교육 등 사전 예방 관리를 통해 부적합률을 1% 수준 유지하고 있다. 농관원은 지난해 새롭게 도입된 가루쌀 매입 검사, 농약 품질 검사 및 유통 관리, 항공 방제업 신고, 농약 피해 분쟁 조정 등의 업무도 수행하고 있다.

농관원은 첨단 기술을 활용한 검사 장비를 개발하고, 시대 흐름에 맞게 단속 방식과 인력에 변화를 줘 역량을 유지할 방침이다.

현재 중앙정부와 지자체로 이원화 되어 있는 정부양곡관리 업무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농관원이 전담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농식품 유통·소비 트렌드에 대응해 온라인 통신판매 시장에 대한 원산지 단속을 강화하고, 조사 인력의 세대 변화에 따른 맞춤형 교육을 통해 역량을 유지할 계획이다.

휴대용 단말기 및 바이오 센서 등을 이용한 원산지 검정법도 개발할 방침이다. 박성우 농관원장은 "농관원은 역사와 전통을 간직해 오면서 시대적 변화와 요청에 따라 새로운 업무를 도입하는 등 그 역할과 기능을 잘 발전시켜 현장 중심의 농정기관으로 발돋움했다"며 "농업인과 소비자를 위한 국민의 기관으로 더욱 발전하기 위해 관련 업무에 대한 높은 역량을 유지·발전시키고, 정책 고객과의 다양한 소통·홍보 활동을 통해 농업인과 소비자로부터 신뢰받는 기관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