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최신뉴스

'트럼프'냐, '바이든'이냐...일찍 막오른 美대선에 정책주 써머랠리 주목

파이낸셜뉴스 2024.06.30 16:12 댓글0



[파이낸셜뉴스] 미국 대선이 본격화되면서 증시에 미칠 영향에 관심이 쏠린다. 국내 증시가 미 대선의 영향권에 들어가면서 '써머랠리' 실현의 중요한 변수로 지목되고 있다.

6월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28일(현지시각) 민주당 조 바이든 후보와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후보의 TV토론이 열렸다.

삼성증권 유승민 연구원은 "미 대선의 불확실성은 하반기 금융시장에 중요한 변동성 요인"이라며 "1980년 이후 매년 9~11월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변동성은 대선이 있던 해가 선거가 없던 해보다 높았던 경향이 있다"고 전했다.

이어 "올해는 평년보다 대선 레이스가 조기 점화됨에 따라 금융시장도 빨리 영향을 받을 전망"이라며 "두 후보 사이에 정책 차이가 큰 상황에서 바이든의 승부수가 무위로 돌아가고, 트럼프의 우위가 고착된다면 글로벌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 변경을 심각하게 고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선까지는 아직 5개월 가량 남은 상황이다. 7월부터 양당 전당대회 개최 등으로전 세계 금융시장이 미 대선 영향권에 노출될 수 있다. 대중국 정책, 재정·금융정책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수혜업종과 금리 등) 영향력이 커질 것이란 분석이다.

여러 정책에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가장 큰 관심이 모이는 것은 트럼프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폐기 공약이다. 연방의회 입법에 의해서 IRA를 시행한 바이든과 달리, 트럼프는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통한 IRA 무력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유력하는 진단이다.

실제 트럼프는 행정명령으로 IRA에 상당 부분 타격을 줄 수 있다. IRA의 집행을 구체화하는 바이든의 행정명령들을 폐기하거나 각종 세제 혜택 요건을 더욱 엄격하게 적용하는 새로운 행정명령을 발효시킴으로써 IRA의 인센티브를 약화시킬 수 있다.

트럼프가 당선된다면 과거 '오바마 케어' 폐지 당시와 유사하게 정치적 상징성을 고려, 내년 1월 취임 즉시 IRA를 무력화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할 가능성이 높다는 증권가의 관측이 나온다.

여기에 영국의 조기 총선은 정치적 환경의 불확실성을 키우는데 영향을 줄 전망이다. 다만, 과거 유럽의회 선거 결과로 파생되는 금융시장 영향력은 제한돼 왔다는 점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하 시점을 좌우할 6월 고용지표 결과에 더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NH투자증권 조연주 연구원은 "통상 대선이 있는 해 7~8월은 주식시장이 강한 흐름을 보였다. 오히려 변동성 지수는 하락했다는 점에서 대선 영향권은 9월 이후 본격적으로 불확실성을 반영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신증권 문남중 연구원은 "현 증시 흐름은 변동성보다는 방향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7월 초 변동성(영국 조기 총선)을 극복하고, 방향성(미국 6월 고용)에 주목하며 증시는 써머랠리를 지속하는 동력을 재차 확인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dschoi@fnnews.com 최두선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