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최신뉴스

김포시, '자광미' 복원으로 농업의 새 길 연다

파이낸셜뉴스 2024.06.28 05:59 댓글0

변화한 식생활,다양화된 시장 발맞춘 가공식품에도 적합한‘자광미’
문화로 재배부터 활용까지 시민이,소통으로 확장하는 새로운 농업


자광미 모내기에 나선 시민들. /김포시 제공
자광미 모내기에 나선 시민들. /김포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김포=노진균 기자】 경기 김포시가 숨어있는 가치를 찾아 새로운 기회로 창출해 나가고 있는 가운데, 식생활 변화에 발맞춘 김포농업을 향한 새로운 변화가 일고 있다.

30일 김포싱 따르면 시는 특별한 효능을 갖춘 김포 ‘자광미’를 문화적 소통의 일환으로 시민과 함께 복원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300년 전부터 김포에서 재배되어 온 '자광미'는 소화기를 튼튼하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어지럼증과 요통, 팔다리 무력감, 목이 붓고 아픈 증상, 입안이 허는 증상, 안진환 등 효과(본초강목, 1596, 이시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가 주목한 자광미는 300여년전 중국에 갔던 사신이 밥맛이 좋다는 볍씨를 가져와 당시 통진현(현 통진읍) '밀다리'에서 심은 것으로 유래돼 '밀달쌀'이라고 불렸다.

이후 임금께 진상돼 올리니 엷은 자색을 띈다해 '자광벼'라는 이름을 내리신 것으로 알려져 있다. 1682년 출간된 '산림경제'에 자광벼에 대한 언급이 있는 것으로 미루어, 350년 이상 김포에서 재배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민선8기 출범 이후 김포농업의 새로운 활로에 대해 고민하던 김포시는 자광미를 통한 농업의 정체성 찾기와 새로운 기회 모색에 대해 주목했다.

이에 농업기술센터와 문화재단이 머리를 맞댄 끝에 자광미 종자를 찾아 재배부터 활용까지 모든 과정을 시민과 함께 하는 문화로 연계, 장기 프로젝트로 구성했다.

특이한 점은 쌀 복원에 있어 문화적 맥락에서 접근하는 방식과 시민 소통으로 정체성을 담은 자광미를 활용 방안으로 찾기에 나섰다. 시는 새로운 농업문화의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가공식품을 통한 확장 가능성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

엄은경 요리연구가는 "350년 이상의 재배 역사를 지닌 ‘자광벼’는 연한 자색의 김포 토종 종자로서, 임금께 진상될 만큼 그 맛과 영양이 뛰어나다"면서 "소화기를 건강하게 하고 항노화, 항암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자광벼의 복원은 김포 농업의 활성화와 함께 김포의 정체성을 정립하는데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2차, 3차 가공을 통해 자광벼 섭취의 용이성과 현대인들의 기호성을 고려해 개발된 상품들은 김포쌀의 우수성을 알리고 새로운 김포쌀에 대한 매우 긍정적인 미래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시는 자광미 복원을 시작으로, 문화적 관점으로 시민과 함께 현 시대의 흐름에 맞는 김포농업의 새로운 방향을 지속적으로 찾아나가겠다는 각오다.

그 첫 걸음으로 시는 지난 8일 월곶면 개곡리에 위치한 밀다리마을박물관을 거점으로 지난 8일 ‘밀다리쌀’ 모내기를 시작했다. 김포시농업기술센터에서 자광미의 종자를 확보하고, 김포문화재단에서 함께 할 시민을 모집해 40여명의 시민이 함께 자광미 모내기에 나서는 등 협업으로 첫 발을 내딛었다.

참가한 시민들은 '밀다리쌀을 키워라' 프로젝트의 연구원이 돼 수확이 이뤄지는 11월까지 올해 매월 1차례 이상 논을 함께 관리하며 재배하는 것을 비롯, 논 생물 관찰, 피사리 활동, 허수아비 만들기, 수확과 탈곡 등 밀다리쌀 재배와 관련된 생태 및 예술 활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매월 밀다리쌀이 커가는 과정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관찰일지를 작성, 활동 기록을 모아 추수가 끝난 후 공유회와 전시를 개최할 예정이다.

김병수 시장은 "자광미 복원은 김포농업의 또 다른 가능성을 포괄하는 것으로 김포농업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도 있다"면서 "민선8기 김포시가 추진 중인 김포의 정체성 찾기는 김포의 또 다른 도약의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njk6246@fnnews.com 노진균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