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부문 기준 매출액증가율 당기순이익 증가율 ROE

"외국인 금융은 은행 자율에"… 뒷짐진 당국에 더딘 서비스[200만 외국인시대, 갈길 먼 K금융 (中)]

파이낸셜뉴스 2024.06.24 18:02 댓글0

銀, 일요일 영업 특화점포 늘리고
비대면 화상 통역 서비스 등 제공
자체 서비스 개발 나섰지만 한계
늘어나는 외국인 포용금융 차원
정부 투자세액 공제 등 지원해야


"외국인 금융은 은행 자율에"… 뒷짐진 당국에 더딘
국내 시중은행들이 외국인 260만 시대에 외국인 금융 소비자를 위한 상품·서비스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인구절벽 시대에 외국인 인력이 우리나라 고용시장에서 중요한 경제 주체로 주목받기 시작한 데다 국내 거주 외국인이 급증하면서 시중은행들이 정부 정책보다 앞서 자체 투자를 통해 외국인 고객 불편을 줄이는 서비스를 내놓고 있는 것이다.

■하나·신한, 외국인 금융 '선도 경쟁’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은 정부가 외국인 금융 인프라 활성화 정책을 시행하기 전부터 시장 수요를 보고 선제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외국인 금융 서비스에 가장 앞선 곳은 하나은행이 꼽힌다. 하나은행이 외국인 손님들을 위한 특화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개발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현장'과 '인프라'에 있다. 하나은행이 외국인근로자 밀집지역 인근에 운영하는 일요일 영업 점포만 16곳이다. 대표적인 밀집지역인 경기 안산 뿐 아니라 의정부, 김포, 평택, 인천 남동구와 대구 달서구, 경남 김해 등 전국적인 망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하나은행 본점 외환사업본부 외환마케팅부에 외국인 근로자 전담팀을 운영하고 있는 것도 외국인 특화 서비스를 한 발 빠르게 내놓을 수 있는 배경이다. 하나은행은 고용허가제 대상 국가를 중심으로 현지에서 온 직원 10명을 채용해 외국인 근로자 손님들에게 계좌 개설, 카드 발급 등 필요한 업무를 안내하고 있다. 외국인 고객들은 현재 하나은행 하나EZ앱, 신한은행 쏠 글로벌(SOL GLOBAL)을 통해 영업점에 가지 않고도 계좌를 만들 수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부터 은행의 공통 미션을 추진하는 임시조직 '솔루션 트라이브' 내에 외국인 고객 분야를 두고 각 부서에서 외국인 고객 기반 확대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를 도출했다. 신한은행은 최근 비대면 서비스를 연이어 선보이면서 경쟁사 추격에 나섰다.

신한은행은 다음달 외국인 고객을 위한 '화상상담 파일럿'을 디지털 라운지 3곳에서 선보인다. 외국인이 많은 지역인 서울 구로와 관악, 안산 반월에 디지털라운지 3곳에서 은행원과 화상으로 상담받을 수 있는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신한은행은 이를 위해 직원과 고객, 외국어 전용 콜센터 간 3자 통화 시스템 개발을 이달 말까지 끝내고 7월 초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또 신한은행은 외국인 유학생의 계좌 한도 문제로 등록금을 은행에서만 내는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페이팔과 업무협약을 맺어 신한은행 홈페이지에서 페이팔로 등록금을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도 시행할 계획이다.

■지방은행·인뱅도 외국인 금융 ‘박차'

다른 시중은행들과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에서도 외국인 금융 확대를 영업전략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사전서류 작성 서비스'를 테스트해 외국인 거래가 많은 점포 120곳에 시범 적용한 뒤 전 영업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외국인 전용 앱 '우리 WON 글로벌'에서 서류를 작성할 수 있는 서비스로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가 지원된다. 또 외국인 고객이 많은 영업점에는 외국인 통역 인력을 확충해 외국인이 가장 불편함을 느끼는 언어장벽 문제를 해소할 계획이다.

BNK경남은행은 명곡금융센터, 울산영업부에 중국 출신 다문화가정 직원을 배치해 외국인 근로자 전용 창구를 운영하고 6개국 언어로 된 '외국인 금융거래 가이드북'을 제작해 배포 중이다. 인터넷전문은행 중에서는 토스뱅크가 유일하게 외국인 대상 비대면 계좌개설, 체크카드 발급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토스뱅크 외국인 고객의 체크카드 발급 비중은 지난달 기준 88.1%에 달한다.

■수요 못 따라가는 외국인 금융

은행들이 자체 서비스 개발에 주력하고 있지만 외국인 금융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 2022년 행정안전부 '외국인 주민 현황'에 따르면 외국인 주민 비율이 5%가 넘는 전국 시·군·구는 68개에 달한다. 하지만 각 은행 특화점포는 10여 개 수준에 그치고 있다.

금융권은 국가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금융의 역할 변화와 포용금융 측면에서 외국인 금융 인프라와 서비스 제고를 위해 정부의 정책 설계와 투자 세액 공제 등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위는 "외국인 금융 서비스 개선은 각 금융사의 경영상 판단에 따라 자율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사안"이라는 입장이다. 은행 고객 구성과 경영 전략이 모두 다르다는 판단에서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박소현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록

전문가방송

  • 백경일

    ■팍스넷 [수익률 최고 전문가] (황금) 대장주 잡아라! ~

    07.12 08:20

  • 백경일

    ■팍스넷 [수익률 최고 전문가] (황금) 대장주 잡아라! ~

    07.26 08:20

  • 진검승부

    장마 수혜주 분석과 공략법

    06.27 19:00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전문가방송 종목입체분석/커뮤니티 상단 연계영역 전문가 배너

외국인 동시매수 & 등락률 상위 종목 확인 하러 가기

연 2%대 금리로 투자금 3억 만들기
1/3

연관검색종목 06.30 06:00 기준